남대문시장 남성니트점
페이지 정보
본문
11일 오후 서울 남대문시장 삼익패션타운의 남성복매장 ‘투·쓰리’를 운영하고 있는 문평일 사장이 자신의 매장 앞에서 직접 디자인한 옷들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신문]“‘조르지오 아르마니’ 부럽지 않아요.”
남대문시장 안 삼익패션타운의 남성복매장 ‘투·쓰리’를 운영하는 문평일(64)사장은 “내가 만든 니트 브랜드 ‘알마니아’의 인기가 ‘아르마니’ 못지않다.”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그는 이곳에서 17년간 남성용 니트류를 제작 및 판매해왔다.
●17년간 제작·판매… 10여평 매장서 월 수익 수천만원
10평 남짓한 매장을 보아선 그의 말을 믿기 어렵지만, 한달 판매량을 알고 나면 그의 자랑이 괜한 ‘허풍’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삼익패션타운 5층 한 모퉁이에서 그가 니트를 팔아 벌어들이는 수익은 한 달에 수천만원대. 한창 잘 팔릴 때는 한 달만에 억대를 벌었다고 한다.
“고급 원단을 사용해 나만의 디자인으로 옷을 만드니 날개돋친 듯 팔리더군요.”
●고급 原絲·튀는 디자인… ‘문씨표 니트’ 단골 상인만 100여명
문씨는 실을 직접 골라 원단을 주문하고, 디자인도 직접 해 완성복을 만든다. 원단은 최상급을 고집해 완성된 니트는 도매가가 한 장에 5만원 정도, 소매가는 10만원이 넘는다. 비교적 고가임에도 하루 40장이 넘게 팔려 나간다. 부산·광주·대전 등 전국 각지에서 ‘문씨표 니트’를 정기적으로 사러 오는 단골 상인만 100명을 웃돌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씨는 의상 디자인을 공식적으로 배운 적이 단 한번도 없다. 농고를 졸업한 그는 20살때 빈손으로 무작정 시골에서 상경했다. 그런 그가 이처럼 대단한 사업가가 된 비결은 무엇일까. 그는 “‘한 우물을 파라.’는 옛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면서 “인생 역정 속에서도 무조건 한 길만 판 것이 성공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45년 전 무일푼 상경… 옷가게 점원으로 ‘첫 발’
45년 전, 서울에 올라온 문씨는 우연히 무대용 의상을 판매하는 옷가게 점원으로 일하게 된다. 손님들이 어떤 옷을 좋아하는지 눈여겨 본 그는 옷을 판매하는 것만으로는 성이 차지 않아 직접 옷을 만들기로 한다.
“고향 선배한테 130만원을 꿔서 유명 원단회사에서 ‘땡처리’로 나온 최고급 면을 트럭째로 사들였어요.”
그는 원단을 가지고 봉제 공장으로 가 상상했던 디자인을 설명해 옷을 주문했다. 완성품은 보따리째 싸들고 걸어다니며 옷가게에 홍보했다. 문씨는 “처음엔 시큰둥했지만, 고급 원단을 싼 값에 파니 점점 옷이 불티나게 팔리기 시작했다.”며 30여년 전을 회상했다.
그러나 시련도 있었다. 남대문 시장에 정착해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자 욕심이 커진 문씨는 잠시 ‘악마’의 손길에 넘어갔다.1990년대 들어 이른바 ‘짝퉁’ 옷을 만들어 수익을 올리는 상인이 늘자 그도 점점 그 세계에 빠져들었다.
●짝퉁 팔다 벌금 낸 ‘아픔’이 ‘오늘날’ 가져와
“내가 개발한 옷보다 유명 메이커를 단 옷이 훨씬 쉽게 팔려 나갔어요. 한 벌만, 두 벌만 만들어 팔자던 생각이 열 벌, 스무 벌로 점점 불어났죠.”
결국 경찰의 단속에 걸린 문씨는 2000만원이라는 벌금을 물어야 했다. 그러나 위기는 오히려 기회로 바뀌었다. 그는 “그 이후론 단 한 벌도 ‘짝퉁’을 만들지 않았다.”면서 “그 일 덕분에 내 옷을 꾸준히 개발해 지금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동대문에서 직접 실을 골라 원단을 주문한다. 한때 디자이너를 두기도 했지만 그의 안목을 따라오지 못한다는 판단에 그만두게 하고 직접 디자인을 했다. 실 고르기부터 제작·판매까지 총괄하다 보니 쉴 틈이 없다.
●환갑 넘기고도 하루 2~3시간 자며 시장조사까지
밤 11시에 열어 다음 날 오후 4시가 넘어야 문을 닫는 가게를 지키고, 짬을 내 시장 조사와 공장도 다녀온다. 그러다 보니 하루 2∼3시간 자고, 일주일에 6일은 꼬박 일한다.
“내년 쯤에는 아들에게 모든 일을 넘겨주고 떠날 생각”이라는 문씨는 “그러나 현업에서 떠나도 아들을 도와 ‘옷세계’를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그런데 하필이면 브랜드 이름이 ‘알마니아’일까.“상표 이름이 ‘아르마니’와 비슷한데 스타일을 따라하냐.”고 기자가 묻자 그는 “‘알마니아’는 ‘아르마니’와 이름만 비슷할 뿐 스타일도, 의미도 전혀 다르다.”고 해명했다.‘알마니아’는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는 의미라는 것. 스타일도 그가 추구하는 정장풍 니트와는 차이가 있어 따라하지 않는다고 한다.
“정직하고 올곧게 한 길을 걷다 보면 언젠가 좋은 날이 옵니다.” 이씨는 피곤하지만 괴롭지 않은 표정으로 또다시 남대문의 밤을 열었다.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서울신문 2005-06-14
- 이전글원조 댄스가수 김완선 씨 패션 사업 시작 05.06.28
- 다음글미국인 이태원…中은 재래시장 05.06.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