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센터
  • 뉴스
  • 고객센터

    동대문관광특구를 찾는 고객 여러분과 동대문관광특구 상인 모두의 건강과 사업이 번창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뉴스

    동대문관광특구를 찾는 고객 여러분과 동대문관광특구 상인 모두의 건강과 사업이 번창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서울시, '동대문 뷰티융합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 추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dmin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42회   작성일Date 23-03-29 14:15

    본문

    동대문 뷰티산업 허브 구축 '서울비전 2030' 후속조치
    패션산업 집적지 특징 고려 안 한 일방적 추진 지적도


    동대문을 뷰티산업 허브로 만들겠다는 서울시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서울비전 2030'을 통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중심으로 한 동대문을 세계 트렌드를 주도하는 뷰티산업 허브로 구축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최근 '산업.특정개발진흥직'제도를 개편, 동대문 일대를 '뷰티융합 특정개발진흥지구'로 신규 지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2010년 '디자인.패션 특정개발 진흥지구' 호보지(대상지)로 선정됐지만, 지구 지정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던 DDP 일대를 뷰티산업과 한류 연계 문화.관광 콘텐츠 산업까지 포괄하는 '동대문 뷰티융합 특정개발진흥지구'로 확장해 지구 지정을 재추진하다는 것이다. 지구 지정 절차 소요기간도 통상 8년 6개월에서 4년 이내로 단축시킬 계획이다.

    '산업.특정개발진흥지구'는 전략산업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 관련 업종의 집적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다. 현재 종로(귀금속), 성수(IT), 마포(디자인.출판), 동대문(한방), 중구(인쇄), 면목(패션.봉제), 영등포(금융), 중구(금융) 등 8곳이 지정돼 있다. 지구로 지정되면 용적률 상향 등 건축규제 완화, 지방세 감면등 세제 혜택과 경영자금 등 각종 자금융자를 받을 수 있다. 사업 유치 활성화를 위한 종합지원시설도 지구에 설치 운영된다.

    서울시의 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밝힌 '서울비전 2030'의 후속 조치다. '서울비전 2030'을 통해서 밝힌 전략산업 육성계획이 관련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꽃피울 수 있도록 '산업.특정개발진흥지구' 제도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시행하는 각종 특구 제도가 있지만, 서울 지역은 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지정에서 제외되거나 지정이 되고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시자체 제도를 업그레이드해 적극 활용하고 특구 지정도 동시에 추진한다는 것이다.

    오세훈 시장이 앞으로 펼쳐나갈 시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종합적으로 망라해 담은 '서울비전 2030'은 오은 2030년까지 향후 10년 서울시정의 마스터플랜에 해당한다. 이중 동대문을 뷰티산업 허브로 구축하는 것은 글로벌 톱5 도시 목표로 과감한 규제개혁와 인프라를 대거 확충하는 글로벌 선도도시 정책의 일환이다.
    동대문을 화장품 기업.연구기관,K-뷰티 체험공간.아카데미, 한류 연계문화.관광콘텐츠가 집약된 '글로벌 뷰티산업허브'로 만들기 위해 기존 '서울패션허브'와 연계되는 뷰티산업 클러스터를 오는 2030년까지 구축한다는 거시다. R&D, 창업, 수출, 마케팅을 집중 지원해 서울에 소재한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을 4개에서 6개로 확대하고, 관광.미식 등 관련 산업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문제는 국내 최대 패션산업 집적지인 동대문을 종사자와 관계자들의 여론수렴도 없이 뷰티산업 허브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것이다. 동대문에서 뷰티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0%도 안 된다는 것도 허브로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다. 동대문패션타운은 이미 지난 2002년 5월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관광특구로 지정돼 뷰티융합 특정개발진흥지구와 중복될 수 있다. 기존 서울패션허브와의 연계되는 뷰티산업 클로스터 육성도 패션산업 활성화를 위해 만든 서울패션허브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패션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동대문에는 아직도 10만 명이 넘는 상인들이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고, 패션 플랫폼 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맺으며 새로운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며 '뷰티산업 허브로 만드는 것보다 먼저 패션산업 허브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D-sotry 신문 글 박우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